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[Network] 네트워크 장비 정리
    Network2 2019. 10. 11. 22:13

    http://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qorckddls010&logNo=220988760104&parentCategoryNo=&categoryNo=28&viewDate=&isShowPopularPosts=true&from=search

     

    [네트워크기초] 네트워크 장비

    안녕하세요.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비의 종류가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...

    blog.naver.com

    블로그 참고했음을 미리 알립니다.

     


     - 랜 카드(LAN Card) : 컴퓨터를 랜에 연결시키는 장비로, 오늘날에는 컴퓨터 메인보드에 온보드형식으로 탑재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. NIC(Network Interface Card)라고도 합니다.

     

     - 허브(Hub) : 네트워크의 중심축에 놓여, 여러 컴퓨터들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. 간략히 말하자면 여러 단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전송로 중계장치입니다.

      > 더미허브 : 들어오는 전기적 신호를 복제, 활성화된 포트에 흘려줍니다 -> OSI에서 1계층 장비로 분류됩니다.

      > 스위칭허브 : 허브에 MAC 주소 학습 기능을 이용, 경로를 찾아 포워딩해주는 기능을 합니다.

      (오늘날 더미허브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고 합니다.)

     

     - 리피터(Repeater) : 중계기입니다. 신호를 수신해 증폭한 뒤 다음 구간으로 재전송하는 장치입니다. 이로 데이터를 더 먼 거리까지 전송할 수 있는데, 요즘은 리피터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장비가 많습니다.

     

     - 브리지(Bridge) : 전기적인 충돌이 일어날 수 있는 2개의 세그먼트를 연결하여 충돌위험을 줄이고,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게 합니다. 전송된 데이터의 위치를 확인해서 현재 세그먼트에 속하면 이동을 막고, 이동해야하는 경우에만 통과시킵니다. 이로 인해 불필요한 트래픽/충돌을 방지, 네트워크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- 라우터(Louter, 중요) : OSI 3계층 Network 계층에 속해있는 장비입니다. 다른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위해서 사용되는데, IP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가 이동할 최적의 경로를 결정, 이 결정된 경로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합니다.

      > Load-Balancing 지원 : 어떤 경로에 많은 트래픽이 있는 경우, 데이터를 다른 경로로 전송하는 기능

     

     - 게이트웨이(Gateway) :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입구 같은 역할을 합니다. 이는 라우터, 스위치 등의 사용을 필요로 합니다.

      > 브리지와 게이트웨이의 차이 : 브리지는 통신 프로토콜이 유사/동일한 통신망 연결, 게이트웨이는 하드웨어/운영체제가 전혀 다른 통신망 연결

Designed by Tistory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