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ystem
-
해커스쿨 ftz training9System/HackerSchool ftz training 2019. 2. 26. 21:38
id 입력 결과 :uid=2009(trainer9) gid=2009(trainer9) groups=(trainer9) uid : User ID의 약자.숫자를 좋아하는 컴퓨터는 숫자를 사용자들에게 부여해서 그 숫자로 사용자를 식별한다고(..)=> 2009 gid : Group ID의 약자.다른 사람을 자신의 gid를 가진 그룹에 속하게 할 수 있음.특수한 경우 외에 gid == uid (True) (?) group : 자신의 그룹 명시.임의로 변경하지 않으면 기본으로 uid와 같은 그룹에 속함. 다음. ls -al test1 입력 결과 :-rwxrwxrwx 1 trainer9 trainer10 5 10월 20 21:35 test1 -rwxrwxrwx를 봅시다. - / rwx / rwx / rwx 이렇게 4..
-
해커스쿨 ftz training8System/HackerSchool ftz training 2019. 2. 26. 16:41
파일의 종류 - 일반 텍스트 파일 : 글자로만 이루어진 파일."README.TXT" 가 그 예시로, cat 명령을 사용해 내용을 출력함. - 프로그램 소스 파일 : 컴퓨터 언어로 입력한 파일. cat 명령 대신 "컴파일"이란 과정을 거쳐 실행 가능하도록 만든 후 사용함. 텍스트 파일 생성법 1. 쉘 프롬프트 상태에서 cat > (파일이름).txt라고 입력2. 원하는 내용 ~~~3. ctrl + D test.txt를 만드려고 할 때cat > test.txttest.txt를 불러올 때cat test.txt더 쓸 말이 있을 때cat >> test.txt( > : 리다이렉션, 방향을 전환한다는 뜻 : 입력 결과를 모니터가 아닌 파일로 보냄.) 소스 파일 생성법 1. 쉘 프롬프트 상태에서 cat > (파일이름)...
-
리눅스 기초 파일구조System/HackerSchool ftz training 2019. 2. 23. 20:35
- 대충 쓸 겁니다. 정리용이거든요. 진짜 대충 쓸 거에요. 파일 구조만. bin : 가장 필수적인 리눅스 실행 파일 포함. boot : 리눅스 부팅 관련 파일, 커널 포함. dev : 하드웨어에 관한 정보들이 파일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. etc : 많은 중요 파일 포함. (패스워드, 쉐도우, 대부분의 리눅스 설정 파일 등등.)- 왜 뭔가 안 중요해보이는 etc일까? home : 일반 사용자들의 디렉토리가 들어가는 디렉토리.(뭐?) lib : 라이브러리 파일들 포함. mnt : mount 명령을 사용해서 마운트시킨 시디를 플로피 디스켓 등이 들어가는 디렉토리(굉장히 이해가 가지 않는다.) proc : 프로세스들이 파일 형태로 저장되는 디렉토리. root : 일반 사용자들의 디렉토리와 별개로 루트..